Archive

Posts Tagged ‘windows’

[Windows] windows7 망가진 MBR 복구하기

February 9, 2011 Leave a comment

windows7 설치 후 Ubuntu10 설치했으나, Ubuntu10 부팅 때 부팅메뉴가 뜨지 않아서 이것저것 삽질 하다 보니 windows7 MBR이 Ubuntu에 의해 망가진 상태.

뭐, Ubuntu 설치하면서 망가지긴 했겠지만…

그래서 다시 복구 시도…

먼저 windows7 설치 USB로 부팅하고 windows7 설치 화면에서 복구 선택.

복구 옵션에서 Command Prompt 선택해서 command창 띄우고 다음의 명령어로 MBR 복구.

bootrec /fixboot

bootrec / fixmbr

이걸로 windows7 부팅 성공..

이후에는 Grub2를 다시 설치하고, windows7 메뉴를 Grub2에 등록만 하면 멀티 부팅 성공.

항상 windows 설치 후 Ubuntu 설치하고 나서 멀티부팅에 문제가 없었는데, 이번에는 몇일을 삽질했다.

이유는 Ubuntu로 부팅하면서 Shift 키를 지긋이 누르고 있어야 부팅메뉴가 뜨는데 그걸 몰라서..

Ubuntu 홈페이지에서 Grub2 매뉴얼을 차근차근 읽으니 Shift 키를 누르고 있어야 부팅메뉴가 뜬다는 사실을 알아버렸다.

Grub2의 옵션을 변경하지 않으면….

예전 Grub에서는 부팅메뉴가 항상 떴었는데..이상하단 말이지…

운영체제가 2개 이상이 설치가 되어 있지 않더라도…

왜 Grub2에서는 운영체제가 2개 이상이 설치되지 않으면 부팅메뉴를 Shift 키를 눌러서 띄우느냔 말이야…

무식이 죄이긴 죄이지만…

아마도 Ubuntu 설치하다가 뭔가를 잘못 설정해서 그런것인지도…

아.. 열심히 공부해야 겠다….

Categories: Windows Tags:

[Ubuntu] Windows7과 Ubuntu10.10 듀얼부트

February 9, 2011 Leave a comment

Windows7 하고 Ubuntu10 하고 멀티부팅을 성공시키기는데 3일이 걸렸다.

예전에는 한방에 되었는데… Grub2 땜에 많이 헤맸다. (그놈의 Shift우씨 땜에… )

Windows7, Ubutu10 설치하고 Grub2에 Windows7 부팅메뉴 추가하고 다시 부팅하면 Grub 부팅메뉴 목록이 보이지 않았다. 잘못 설치된 것인줄 알고 재설치 몇번.. googling 몇일…

그러다가 Grub2 guide를 읽어보다 문득 아~~~ Shift 키….. 이 놈땜에 3일을 버렸다…. 한숨한숨한숨

무식이 죄다….

먼저 Windows7을 설치..

Windows7이야 뭐… 그냥 설치 CD가 아닌 USB 꼽고 설치하면 되고….

내 아수스 UL20A에는 ODD가 없다.. 그래서 왠만한 것들은 다 외장하드나 USB를 통해서 설치를 하는데…

Windows7 iso 파일을 USB에 심기가 쉽지가 않네…

그냥 쉽게 UltraISO를 사용해서 Windows7을 USB에 굽고, 부팅도 가능하게 했다.

다음으로 Ubuntu10 설치.

아수스 UL20A는 64bit 이므로 Ubuntu10.10 64bit를 다운받았다. 

(ubuntu-10.10-desktop-amd64.iso)

Ubuntu는 좋은게 windows에서 iso 파일을 USB로 구울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 

(Universal-USB-Installer.exe  이 사이트에서 받아도 되고, 내가 사용한 다른 버전 파일을 업로드 함.)

이 툴을 다운로드 받고 그냥 실행시키고, 라이센스 관련한 건 그냥 I Agree로 넘기고…

  1.   Linux 배포 버전을 선택 > Ubuntu10.10 Desktop amd64  (당근 64bit 이므로…)
  2.   Linux 배포 iso 파일 선택 > ubuntu-10.10-desktop-amd64.iso
    (Universal-USB-Installer와 iso 파일이 동일한 폴더에 있으니 자동으로 선택 되더라는 거.. 똑똑한 넘..)
  3.   그냥 Create 버튼을 지긋이 누르시고, 그 담에는 그냥 기다리기.. 끝날때까지.. 시간이 좀 걸림.

완성된 USB를 꼽고 다시 부팅하고.. 물론 USB로 부팅..

아수스  UL20A는 부팅 될 때 Esc 키를 눌러주면 임시로 부팅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HDD와 USB가 꼽혀 있으면 해당 USB 제품명… 1개면 1개, 2개면 2개로…

USB로 부팅하고, 뭐… 이것저것 언어, 로케이션등 선택하고, 파티션 새로 만들고… 사용자 등록하고… Forward, Forward…

파티션은 /, /home, linux swap로 생성… (파일 시스템은 Ext4)

이 때 주의 할 점은…. 

  1. Windows를 먼저 설치했으므로 sda1, sda2는 Windows용임.
    (sda1는 Windows bootloader, sda2는 Windows가 사용).
    당연히 파티션을 삭제하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함.
  2. Ubuntu bootloader (Grub2)는 sda (첫번째 하드, 내 UL20A에는 하드가 당연 하나밖에 없음)로 선택.
  3. linux swap 파티션도 만들어주어야 함.
    swap 파티션은 어떤 문서에는 메모리의 두 배니, 어떤 문서는 메모리와 동일하게 니… 하는데.. 난 그냥 메모리와 동일한 크기로 만들었다… 4GB로…

이렇게 설치 완료했다.. 는 거죠…

Ubuntu 설치 완료 후 다시 부팅하면 당연히 Ubuntu로 부팅이 된다.

Ubuntu설치 시에 Windows bootloader가 설치한 MBR쪽 셋팅은 날라가 버렸으니 Windows로는 부팅 불가…

이제부터 Windows로 부탕가능하도록 Grub2를 설정.

Windows 부팅가능하도록 부팅 메뉴에 등록하려면 

/etc/grub.d/40_custom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파일 수정이야 해당 폴더로 이동하고 vi로 편집하면 되는데.. 이걸 그냥 한방에..

sudo vi /etc/grub.d/40_custom

이렇게 한방에… 40_custom 파일은 root 권한으로 수정/저장 가능하므로 sudo를 사용해서 수정/저장해야 함.

수정할 내용은…

아래의 내용을 추가하면 된다.

menuentry “Windows 7 english (on /dev/sda1)” {
        insmod ntfs
        set root='(hd0,1)’
        search –no-floppy –fs-uuid –set 6652CF1152CEE541
        chainloader +1
   }

    1. /dev/sda1  :  Windows7이 설치한 bootloader 파티션.
    2. set root='(hd0,1)’  : hd0는 첫번째 HDD, 1은 첫번째 파티션. 즉 Windows7이 설치한 bootloader의 파티션.
    3. search –no-floppy –fs-uuid –set 6652CF1152CEE541 : 6652CF1152CEE541 Windows bootloader 파티션의 UUID이다.

여담으로, HDD의 파티션 정보는

sudo fdisk -l

로 확인 가능한다. (-l은 L의 소문자)

이렇게 수정/저장하고 꼬옥 해야 할 것이 있는데… 이걸 안해서 몇번이고 같은 작업을 했다… 흑흑흑흑흑흑흑흑

sudo update-grub

이 명령어는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여 grub.cfg 파일을 다시 생성하는 작업을 한다.

이후에는 다시 부팅하면 Ubuntu 부팅 메뉴 몇개하고 刚刚 등록한 Windows7 놀람 메뉴가 두둥 하고 뜬다…  뿌듯

이걸 3일이나 걸렸다…. 한숨

Categories: Ubuntu, Windows Tags: ,